518 민주화 운동 대한민국 민주화의 시작

이슈|2020. 5. 16. 14:0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코니입니다.

이번엔 518민주화 운동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합니다.

 


5.18 민주화운동이란?

   -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 새벽까지 10여일 동안 전두환을 정점으로 한 당시 신군부 세력의 진압에 맞서 광주시민과 전남도민이 '비상계엄 철폐, 유신세력 척결' 등을 외치며 죽음을 무릎쓰고 민주주의 쟁취를 위해 항거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5.18 민주화운동 내용

   - 계엄군에 의해 진압당한 이후 5.18 민주화운동은 한떄 '북한의 사주에 의한 폭동'으로 매도당하기도 했으나 진상규명을 위한 끈질긴 투쟁으로 1996년에는 국가가 기념하는 민주화운동으로, 2001년에는 관련 피해자가 민주화 유공자로, 5.18 묘지가 국립 5.18묘지로 승격되어 그 명예를 온전히 회복하였습니다. 5.18 민주화운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분수령이 되는 1987년 6월 항쟁의 동력이 되어 민주주의 쟁취와 인권회복으로 이어졌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 시간 정리

   - 1979년 : 10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사망

               : 10월 27일 - 지역계엄령 선포, 전국 민주화운동 발생

               : 12월 12일 - 전두환 신군부 반란, 군 수뇌부 장악 (1212사태)

   - 1980년 : 5월 15일 - 서울역 대규모 지위

               : 5월 17일 - 전국계엄령 확대선포, 대학교 군 투입 점령

               : 5월 18일 - 광주시민들의 저항(5.18민주화운동)

 

5.18 민주화운동 종료

   - 5월 18일 광주와 전라남도 시민들은 전남도청 앞에서 새로운 독재, 전두환 정권을 물러가라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었고, 당시 전두환 정권은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말고 막아라 라고 지시하였습니다. 이에 탱크과, 헬기, 총기를 가지고 무자비하게 광주시민들을 학살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진압에 더욱 광주시민들은 뭉쳤고 시민군을 만들어 맞서 싸우기 시작하였습니다.

 

시위는 더욱 확대되었지만 전두환정권은 광주 시민들의 시위를 북한에서 일어난 간첩 사건으로 보도함으로서 다른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막았고, 이러한 행위로 광주시민들은 고립되게 되었습니다. 시위대는 전남도청을 중심으로 마지막 저항을 했지만, 5.18 민주화 운동 10일째인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의 기습공격으로 결국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광주 시민들의 숭고한 희생

   - 5.18 운동은 전두환의 정권 장악에 맞서 저항한 시민 민주화운동입니다. 이 과정에서 150명의 광주 시민들이 목숨을 잃게 되었고, 수천 명의 실종, 부상자가 나왔습니다. 죄 없이 체포된 자도 수도 없이 많았답니다. 체포 후 소리없이 죽인 경우도 다 실종자로 잡혀 있겠죠.


5.18 민주화 운동 이후 정두환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정말 말도 안돼는 일이 일어난거죠.

헌법을 바꾸고 국민들의 투표를 통해서가 아니라 소수의 사람들을 모아 놓고 치룬 부정 선거를 통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이후 계속되는 민주주의의 요구를 짓밟으면서 자신의 권력을 유지해 나갔습니다. 




 

5.18 운동의 정신

   - 이렇게 실패하였지만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던 것입니다. 제 5공화국 정권의 치명적인 오점을 남겼으며 80년대 반정부 투쟁 및 민주화 운동의 핵심적 쟁정이 되었습니다. 


   - 광주민주화운동은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무력으로 권력장악을 기도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이며 70년대 민주화 운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민주화 운동을 변혁운동의 관점으로 파악하는 한편, 기층민중을 변혁주체세력으로 인식하는 각정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 이후 대한민국 민주주의 운동

1. 박종철 열사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3학년에 다니던 박종철 열사는 수배 중인 선배 박종운의 소재를 파악하려던 경찰에 의해 남영동 대공분실로 연행되어 물고문을 받던 중 사망했다. 고문 사실을 은폐하려던 경찰은 고문의 의한 사망 가능성이 제기되자, 물고문의 의한 질식사로 정정 발표하였습니다. 

2. 이한열 열사

   - 6월 항쟁의 도화선(이한열 열사)
     이한열 열사는 1987년 6월 9일 1,000여 명의 학생들과 함께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시위 진압을 위해 학생들에게 최루탄을 쐈고, 이 과정에서 이 열사는 최루탄을 맞고 쓰려졌습니다.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의식을 잃은 고인은 27일간 의식을 차리지 못했고 결국 1987년 7월 5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상으로 518민주화운동에 대해서

 알아본 이코니였습니다.


항상 정확한 정보와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 또는 SNS에 공유하셔도

좋습니다.하지만 무단으로 복사해가는 부분은 

해서는 안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항상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정보가 조금이나마도움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